우리 회사는 어느 정도 혁신적일까? 측정방법
‘조직으로서 우리 회사는 어느 정도 혁신적일까?’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업들은 지금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회사들이 대부분 혁신적이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지만 기업을 구성하는 것은 역시 개인들이기 때문에 회사도 개인들처럼 매우 혁신적인 기업부터 혁신성이 매우 떨어지는 기업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회사는 어느 정도 혁신적인지를 정확하게 알 필요가 있겠습니다. 역시 앞에서 본 것처럼 1점과 5점 척도를 이용해서 평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업 혁신 성향의 척도에는 7가지의 요소에 대해서 2개 또는 3가지 항목의 써서 총 20가지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혁신 평가
여기에 대해서 대답을 해보시면서 우리 회사는 동종업계 Top3 기업에 비해서 각 요소가 ‘매우 떨어진다.’, ‘매우 앞선다.’는 기준을 가지고 평가하시면 되겠습니다. 혁신성 output에 있어서는 최근 3년간 출시된 신제품의 수, 최근 3년간 총매출 대비 신제품 매출액의 비율, 최근 3년간 신제품에서 얻는 이익, 이런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혁신 input에서는 R&D 투자금액, R&D 인력의 수, 예산 대비 R&D 비율, 이런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혁신 리더십에서는 ‘우리 회사 CEO가 혁신에 대해서 관심이 높다.’, ‘경영진이 혁신 프로젝트에 많은 시간이 할애한다.’, ‘혁신 활동에 대한 인적·물적 지원이 많다.’ 이런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구성원 역량 요소를 보면, ‘전 구성원 중 혁신 교육을 이수한 구성원 비율이 높다.’, ‘구성원 각자가 혁신이 자기 일이라고 생각한다.’, ‘전 구성원 중 혁신에 몰입하는 구성원 비율이 높다.’ 이런 항목들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조직 분위기 요소를 보면, ‘우리 회사의 경영 관리가 혁신 활동을 적극 장려한다.’, ‘경영 관리가 혁신 활동을 저해하는 정도가 낮다.’, ‘혁신 활동 저해 요인을 제거하고자 노력한다.’ 이런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제 응답 점수의 합계를 구하는 과정을 보겠습니다. 앞의 20개 항목에 대한 점수를 합계해서 점수가 90점 이상이면 혁신 성향에서 탁월한 기업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80점 이상 90점 미만이면 ‘우수 기업’이고, 60점 이상 80점 미만이면 ‘보통 기업’, 60점 미만이면 ‘열등 기업’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만약 80점 미만으로 나타났다면 혁신 성향을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전개해야만 할 것입니다. 혁신 성향의 전체 점수뿐만 아니라 혁신 성향의 각 요소에 있어서 어느 정도 강한가, 약한가를 평가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혁신성 평가 방법
모든 요소에서 혁신성이 강한 기업의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기업은 혁신성의 전체 점수가 높을 뿐만 아니라, 혁신성의 각 요소에 있어서 고루 강하므로 이 기업은 혁신성에서 좋은 성과를 내고 있을 것입니다. 다음 그림에서는 여러 요소에서 혁신성이 부족한 기업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 기업은 혁신 성향의 전체 점수가 낮을 뿐만 아니라, 혁신성 output, 조직 분위기, 구성원 혁신 역량, 혁신 input 이런 측면에서 매우 부진합니다. 이 기업이 혁신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렇게 가장 뒤떨어져 있는 분야들에 대한 보강이 필요할 것입니다. 만약 앞에서 본 척도가 너무 복잡하다고 생각이 되면, 보다 단순한 척도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그 방법으로는 기업의 CEO부터 가장 아래 직급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전 부서의 구성원들 중에서 약 50~100명 정도를 무작위로 선정을 하자. 그리고 다음의 질문을 해보는 것입니다. 그래서 첫 번째 질문은 ‘회사는 귀하가 하는 일에 대해서 혁신하기를 기대하는가?’, 두 번째 질문은 ‘혁신이 인사고과에 중요한 요소로 반영되고 있는가?’ 그래서 여기에 대한 해석은 응답자의 70% 이상이 ‘예’라고 답하면 혁신 기업이라고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조직으로서 회사가 어느 정도 혁신적일지 측정하는 복합적인 방법과 단순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기업이 우리는 어느 정도 혁신적인가를 확인하고서 어떤 측면을 보강해야만 우리가 혁신성과를 더 잘 창출할 수 있을까를 생각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기업이론, 소비자, 혁신기업, 기업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신의 정의와 유형 알아보기 (0) | 2022.06.21 |
---|---|
혁신인재가 대우받는 일터란? (0) | 2022.06.20 |
혁신기업이 끌어가는 경제(변화와 혁신 기업의 역할) (0) | 2022.06.20 |
나는 어느 정도 혁신적일까? (0) | 2022.06.20 |
혁신적인 마케팅의 요인 - 변화를 생각하는 틀 (0) | 202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