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어느 정도 혁신적일까?

나는 어느 정도 혁신적일까?
나는 어느 정도 혁신적일까?

‘나는 어느 정도 혁신적일까?’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변화하기 위해서 또는 주변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우선 나는 어느 정도 혁신적인 사람인가, 나의 혁신성을 제대로 알아야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보면 자신의 혁신성을 제대로 아는 사람도 있는가 하면, 반대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어떤 팀장은 자신이 지극히 혁신 성향이 낮은데도 불구하고 스스로 대단히 혁신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서 팀원들이 자기처럼 혁신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지 않는다고 불평을 합니다. 이 팀에서 아마도 팀원들은 팀장에 대해서 불평을 할 것입니다. 만약 이런 분이 연구개발 센터나 신상품 개발팀의 팀장을 맡고 있다면, 이런 조직이 혁신적인 성과를 내기는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 이런 문제는 부모와 자식 간에도 있을 수 있고, 선생님과 학생 간에도 있을 수 있습니다.

혁신성을 측정하는 방법

혁신성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혁신성을 개인의 타고난 내재적 성향으로 보는 관점입니다. 혁신성은 마치 개인의 성격처럼 내재적 성향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사람은 모든 분야에서 혁신적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만약 내가 가족이나 결혼 제도에 대해서 혁신적이라면, 패션에 대해서도 당연히 혁신적이라고 보는 것이죠.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혁신성은 인지 욕구와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지 욕구라는 것은 어떤 개인이 세상사 여러 가지에 대해서 호기심이 강하고, 알고 싶어 하고, 궁금해 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항시 정보를 수집해서 처리하고 이해하고 싶어 하는 욕구이고, 이런 욕구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다른 관점은 혁신성을 변화 욕구로 보는 것입니다. 혁신성은 새로움과 혁신은 그 자체로 가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변화를 실행합니다. 즐거움을 누리기 위해서 변화하는 것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감각적 즐거움을 추구하기 위해 변화무쌍한 상황의 자극을 추구한다고 보는 것이죠. 즐거움을 누릴 수 있는 변화가 다르기 때문에 같은 사람이라도 혁신성은 분야마다 다르다고 보아야 합니다. 예를 들면 제가 매우 혁신적인 음악이나 미술을 즐기지만, 가족이나 결혼 제도에 대해서는 혁신적이지 않을 수 있는 것이죠.

나는 얼마나 혁신적일까?

이제 나는 어느 정도 혁신적인지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척도는 20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러분께서 이 강의가 끝난 다음에 20개의 항목에 대해서 꼭 대답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각 항목에 대해서 ‘매우 그렇다’고 생각하면 5점, ‘전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면 1점을 할애하면 되겠습니다. 여러분께서 주위의 동료나 친구들과 비교해보면서 나는 어느 정도인가를 1점에서 5점까지로 평가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나의 동료들은 종종 나에게 조언이나 정보를 얻고자 한다.’ 이런 항목도 있고, 네 번째 항목을 보면 ‘나는 일반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는 데 소극적이다.’ 이런 항목도 있습니다. 그리고 6번 항목을 보면, ‘나는 새로운 발명과 새로운 사고방식에 대해서 의심하는 편이다.’ 이런 항목도 있습니다. 다음 11번 항목을 보면, ‘나는 창조적인 유형에 속하는 사람이다.’ 15번 항목을 보면, ‘나는 기존의 생활방식과 일처리 방식이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편이다.’ 이런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제 점수를 어떻게 합산하는지 보겠습니다. 단계1에서는 항목 4, 6, 7에서 20번까지의 점수를 합산합니다. 이 항목들은 혁신성이 낮은 정도를 측정하는 항목들입니다. 단계2에서는 항목1, 2, 3으로부터 해서 19번까지의 항목 점수를 합산합니다. 이 항목들은 혁신성이 높은 정도를 측정하는 항목들입니다. 단계3에서 보시면 혁신 성향 점수는 (42점+2단계의 총점-1단계의 총점) 이렇게 계산이 됩니다. 그래서 그 결과, 점수가 80점 이상이면 ‘혁신자’입니다. 69점 이상, 80점 미만이면 ‘조기 수용자’이고, 68점 이하인 경우에는 ‘조기 다수’거나 ‘후기 다수’거나 ‘후발 수용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께서 69점 이상이 나왔다면 ‘비교적 나는 변화가 필요할 때 쉽게 변화를 실행할 수 있는 사람이다.’ 이렇게 보시면 되겠습니다. 변화를 위한 준비가 비교적 되어 있다고 보시면 되겠고요. 여러분의 점수가 68점 이하로 나온 경우에는 ‘나는 변화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준비가 많이 필요한 사람이구나.’ 그리고 ‘장기적 관점에서 준비하고 변화를 실행에 옮겨야 되겠구나.’ 이런 의미를 파악하시면 되겠습니다. 다시 앞으로 돌아가서 각 항목에 대해서 체크를 다시 해보는 것은 권하지 않겠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께서 다시 답을 해보시게 되면 틀림없이 점수가 더 높게 나오도록 대답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해서 개인이 어느 정도 혁신적인지를 측정하는 방법과 그렇게 해서 나오는 점수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