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주도형 혁신 vs 시장 주도형 혁신 비교
이제 기술 주도형 혁신과 시장 주도형 혁신을 비교해보겠습니다. 기술 주도형 혁신은 기업이 연구개발과 새로운 기술을 개척하는 데 주력하고, 그 결과를 신제품 개발에 응용하는 혁신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기술혁신의 과정을 한번 살펴보면, 첫 번째로는 기업이 돌파해야 될 기술적 이슈나 문제점이 무엇인가에 초점을 맞춥니다. 두 번째로 그 결과, 기술적/과학적 지식을 얻게 되겠죠. 다음 단계는 이렇게 해서 개발된 기술의 적용 분야를 모색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과정에서 혁신적인 해결책을 찾아내면 이것이 기술 주도형 혁신이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보면 많은 젊은이들이 사랑했던 소니의 워크맨은 기술 주도형 혁신의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요즈음 혁신적인 교통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는 하이퍼루프는 이런 과정에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기술 주도형 혁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수요자가 아닌 공급자 중심의 사고에 토대를 두고 있다는 것입니다. 둘째, 연구자의 아이디어와 시장 수요 간에 연계가 약하다는 것이 약점이 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는 표적 고객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혁신을 위한 혁신, 연구를 위한 연구로 흐를 가능성이 다분히 있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시장 주도형 혁신
이제 시장 주도형 혁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것은 고객의 문제 또는 니즈에 대한 시장 수요를 발견하고 그 해결책으로서 신제품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그 과정을 한번 살펴보죠. 첫 번째로 기업이 고객의 문제가 무엇인가, 니즈가 무엇인가를 발굴하는 데서 시작합니다. 다음으로는 문제해결을 위한 기술적/과학적 지식의 탐색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찾아내면 이것이 바로 시장 주도형 혁신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 보죠. 라면은 일본에서 먼저 개발되었습니다만, 우리 한국인들의 입맛에는 잘 맞지 않았습니다. 칼칼하고 매운 맛을 찾는 한국인들의 니즈는 충족이 되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래서 이런 충족되지 않은 니즈를 충족시켜주기 위해서 한국의 지금 우리가 즐겨먹고 있는 칼칼한 맛의 라면이 개발되었습니다. 옆의 그림에서 보이듯이 중년 이상의 남성들 중에는 머리 때문에 고민하는 남성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런 남성들에게 발모를 해결해주는 해결책을 찾아낸다면, 이것 역시 시장 주도형 혁신의 사례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시장 주도형 혁신의 문제점
시장 주도형 혁신에도 문제점이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고객의 충족되지 않은 욕구 또는 고객의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고객 조사를 실시하게 됩니다. 대개 고객 조사는 고객의 현재 욕구에 치중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조사를 여러 차례 실시하더라도 고객의 미래 욕구를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런 것이 첫 번째 문제점입니다. 두 번째로는 고객 지향성이 지나치면 기업의 연구개발이 근시적 연구개발로 흐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문제점이 되겠습니다. 세 번째로는 고객의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은 약간의 향상에 흐를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혁신적 신제품의 개발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 이런 것 역시 문제점이 되겠습니다.
'기업이론, 소비자, 혁신기업, 기업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gers의 혁신이론 해석 (0) | 2022.06.21 |
---|---|
존속성 기술혁신 vs 와해성 기술혁신 비교 (0) | 2022.06.21 |
혁신의 정의와 유형 알아보기 (0) | 2022.06.21 |
혁신인재가 대우받는 일터란? (0) | 2022.06.20 |
혁신기업이 끌어가는 경제(변화와 혁신 기업의 역할) (0) | 2022.06.20 |